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창세기전 모바일 초보자를 위한 결투장 가이드

by 정 보 2024. 3. 7.
반응형

 

우선 티어표라고 해서 많은 분들이0 티어, 1 티어 하시는데, 전 그건 좀 틀린 생각 같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창세기전 모바일에선 좋은 캐릭터들과 대체할 수 있는 캐릭터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이게 정답이다라고 확답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캐릭터는 맞는데 그 캐릭터가 아니어도 그 캐릭터에 그만큼 투자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크로우는 정말 사기입니다. 무과금분들이 셔도 무조건 크로우는 명함은 따고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해요. 나중에 흑태자가 나오면 흑태자가 또 사기가 될 거지만,현시점에선 크로우는 정말 사기입니다.

- 크로우가 사기인 이유.

결투장을 많은 유저들이 이용하고 있지만, 크로우 없는 덱은 거의 없습니다. 많은 유저분들이 크로우를 원픽하는 이유는 크로우의 블레이드 마스터 클래스 패시브 ' 검혼 ' 때문입니다.

이 클래스 패시브는 크로우만 가지고 있는 클래스 패시브일뿐더러, 적에게 피해를 주면 검혼 효과를 받는데 이게 중첩까지 되고, 턴당 받는 피해 감소 때문에 결장 자동전투로 돌리다 보면 크로우 혼자서 서너 명을 썰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나옵니다.

듀란보다 더 단단해지면서 검혼 패시브가 3이 되는 순간(공격력 60% 증가)부터는 거의 뭐 듀란도 살려달라고 애원해 보지만 칼질 한 번에 아이스크림처럼 녹아버립니다. 그러니 크로우는 무조건 뽑으시길. 결장에선 크로우는 필수 아닌 필수입니다.

이야기가 산으로 갔는데 이제 결투장 팁을 드릴게요.

1. 보상

결투장을 들어가서 3회 승리를 하게 되면 보상아이콘이 활성화되면서 보상을 받게 됩니다.

실버 2일 경우의 보상은 인장이 280개를 주고 있고요.

다이아 1일 경우는 400개의 인장을 보상으로 주고 있습니다.

매 시즌마다 다이아 1이 되면 좋겠지만, 결투 대회 티켓을 비트로 구매해야 될뿐더러. 시즌 보상이 완료될 경우 티어는 초기화가 됩니다. 그럼 또 티켓을 구매해야 되니깐, 다이아 1을 찍어서 보상받는 건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골드정도나 플레 정도의 보상이 제일 좋은 것 같아요.

 

2. 점수 획득과 차감

점수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강한 분들을 만나서 티켓 3장 써서 올린 점수가 한두 번의 패배로 다 차감될 수가 있으니, 꼭 유의하셔서 비슷한 전투력으로만 만족하는 점수대에 안착하셔야 됩니다.

예를 들어 봇을 잡고서 8점, 나보다 전투력이 한참 낮은 사람과 이겨서 12점 점수를 획득하였는데 갑자기 1패를 해서 20점 이상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 제 전적을 보시면

저렇게 방어실패 경우에는 20점씩 깎이게 됩니다. 공격 시에도 방어와 같은 시스템으로 점수가 차감되는 시스템입니다. 나보다 월등한 랭킹과 전투력인 사람과 전투 시에는 많은 점수 획득, 나보다 순위가 낮은 사람과 전투시에 적은 점수 획득입니다.

그리고 위 사진을 자세히 보시면 다 방어전인데 자동전투가 보이시고 자동전투가 없는 경우가 있죠?

첫 입장 화면에서 자동전투가 아닌 수동 전투로 들어오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발생되는 이유는 비슷한 투락대거나 자동전투 ai로는 이기기 힘들겠다 하는 경우, 수동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승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수동전투를 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결투장은 많이 참여한다고 해서 점수가 많이 올라가는 시스템이 아니므로, 무조건 많은 티켓을 소모해서 하시지는 않으셨으면 해요.

 

물론 내가 서버 전투력 1위에 아무도 날 막을 수 없으세요 이 시다면, 계속 돌리셔도 되지만, 저희는 초보이니깐 천천히 한걸음 한 걸음씩 배워 나가 보아요.

3. 배치

입장 시 화면입니다. 다섯 캐릭터를 배치해야 됩니다.

우선순위로 속성과 아머 타입에 대해 잘 알고 계신다면 좋습니다.

pvp이든 pve이든 겜화면 위쪽에 보시면 저런 아이콘이 있을 거예요. 클릭을 하시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지성의 결정체자유에 불꽃공격 25% 증가

역으로 자유의 불꽃지성의 결정체에게는 피격 25% 감소. 이런 식으로 속성 상성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래서 결장을 하시다 보면 칼스는 크로우에게 녹고, 낭천은 칼스에게 녹는 이유가 속성 상성 관계라는 것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대가 지성의 결정체 유닛이 3명 이상이다.라고 가정하면 저는 활력의 나무 3 캐릭터로 전투를 한다면 제가 속성상에서 우위를 가져가게 되는 것입니다. 상대가 마법 라이트 유닛이 많다고 하면 관통유닛에 취약하니깐 관통유닛을 배치를 많이 하면 되시겠죠.

하지만 이론상일뿐 지금은 창세기전모바일이 오픈한 지 얼마 안돼서 캐릭터를 10 캐릭터 이상 운용하기 힘들뿐더러, 그렇게 한다고 해도 속성우위 공격방어상성까지는 따져가면서 플레이하시는 분들은 많이 없다고 봅니다. 그래도 알고 계시면 팁이 되니깐 알고 넘어가도록 해요.

자 이제 다섯 캐릭터를 배치를 했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게 어떤 점이냐면 여러분들이 수동으로 일일이 pvp를 하시는 건 아니시잖아요? 대부분 자동 전투를 권장하시기 때문에 순서를 정해주셔야 됩니다.

저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만약 제 전투 스타일대로 배치한다면

이 순서대로 ai가 움직이게 배치하겠습니다.

1. 듀란은 탱커니깐 앞서 나가서 몸빵 해주고,

2. 크로우도 참격이니깐 듀란 다음턴,

3. 사라도 크로우와 마찬가지,

4. 아이린에게 사일런스(3TP) 스킬 사용 유도.

5. 기쉬네 지식전승 유도.

하나씩 하나씩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우선 제 덱에는 대부분 3tp 스킬로 차있습니다.

1. 듀란 - 도발의 외침 3tp, 허공열파 3tp, 썬라이트 5tp

2. 크로우 - 질주, 귀격섬 3tp (첫턴에 질주 쓰고 달려가서 귀격섬을 사용), 다크임브레스 3tp

3. 사라 - 정당한 도전 3tp, 비공섬인 3tp, 난영검무 3tp

4. 아이린 - 사일러스 3tp, 휠윈드 3tp, 노바레이 4tp

5. 기쉬네 - 사일러스 3tp, 마나블레이드 3tp, 썬더볼트 3tp

이렇게 쓰는 이유는 기쉬네의 지식전승으로 인해 캐릭터들이 tp를 모두 소모해도, 기쉬네가 마지막턴에 움직이고 턴종료를 되면 지식전승 패시브로 인해서 모든 캐릭터가 2tp가 충전이 됩니다. 그럼 2 턴째일 때는 다시 3tp가 되죠.

그렇게 때문에 배치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행동 순서나 공격을 할 것인지 지원을 할 것인지를 잘 생각하여서 자신의 전략에 맞게 배치하셔서 건승하시길

그리고 pve 하시다가 결장 가면 pvp스킬이 있고 pve 스킬이 있는데, 스킬을 잘못 들고 오셨을 경우에는 나가시거나, 패배하시지 마시고

배치 시 캐릭터를 클릭하게 되면 사진에서 보시는 것처럼...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스킬 교체를 캐릭터창 안 가시고 하실 수 있으니깐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4. 방어

창세기전 모바일이 처음 나왔을 때, 공격은 자기 캐릭터 덱으로 하고 방어덱은 설정은 안 해서 패배해서 점수가 차감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저희는 초보자의 마음으로 방어덱 설정을 들어가 보겠습니다.

대전 말고 방어 아이콘을 클릭하면 윗 사진 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클릭하셔서 방어덱 설정 들어가시고요.

캐릭터 배치 후 공격과 마찬가지로 행동 순서 꼭 하시고 편성 저장 해주세요.

그리고 맵이 있는데요.

자기 자신의 전투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하셔서 맵 변경도 꼭 해주세요.

5. 티어표?

 

우선 전 1 티어, 2 티어는 없다고 봅니다.

그 1 티어라고 하는 캐릭터에도 상성이 있구요, 오팔과 재화를 1티어 캐릭에 투자한 만큼 투자한다면 전 그만큼의 효율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제일 많이 보이는 캐릭터들로 말씀드리면

크로우, 낭천, 듀란, 아리아나, 칼스, 베라딘, 사라, 엔닐, 아이린, 모르가이나, 번스타인, 듀란 정도가 있겠네요.

제 생각입니다. 맞다 틀리다는 할 수 없지만, 상대가 듀란이나 케빈, 번스타인 같은 탱커가 없이, 미디엄 캐릭터 2명에 라이트 아머 캐릭 3명을 배치해서 방어하고 있습니다.

그럼 저는 관통유닛 아리아나, 리오나 윌라드, 세실리 나레쥬노, 힐러 한 명 탱커 한 명을 배치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럼 제 아리아나가 치명 터지면 3천 넘게 터지니깐, 리오나나 세실리도 동일한 스펙이라고 생각하면 2턴안에는 상대방 캐릭터 한 명은 죽일 수 있습니다.

' 할아버지는 전설이고, 영웅유닛이랑 비교가 됨? ' 이렇게 말씀하실 수도 있지만, 결장에서 엔닌은 영웅유닛인데도 많은 유저들이 메이터, 어비도스 서클 믿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번주 결전 막바지일 때 니나로 서먼 하시던 분 만나서 3연패 박고, 4등 했습니다. 전 주력캐릭터들 바꿔가면서 해도 다 패배하더라고요.

저는 캐릭터 선택에 대해 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애정 있는 캐릭터가거나, 나만의 덱에 충분한 투자를 하신다면 그만한 파워는 나온다고 봅니다.

'과금러들이 쓰는 캐릭이 쌔니깐 다 쓴다.'라는 건 안 맞는 이론이라고 생각합니다. 과금러들은 그만큼 돈을 쓰니깐 쌘 겁니다.

제 생각에 자신의 캐릭터가 강해지려면 사진처럼 랭크 마스터를 해서 능력치를 추가로 받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클래스 랭크 마스터를 많이 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는 능력치가 제일 중요한 포인트이고, 그 많은 재화들을 어떻게 수급하느냐가 중요한 문제이지, Op 캐릭터로 결장 참여해야 이긴다라는 생각을 갖는 건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전 0 티어, 1 티어는 구분하지 않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