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피니트 라그랑주 초보를 위한 기지 방어 요령 공략

by 정 보 2024. 1. 3.
반응형

1. 개요

기지는 공격을 받는 경우 방어 격납고에 있는 함재기가 단독으로 부대를 이루어 출격한다.

이때, 함재기는 일방적인 공격을 할 뿐. 피해를 받지 않으며 전투에서 패배하여 기지가 이전당하더라도 파괴되지 않는다.

즉, 기지가 오래 버틸수록 상대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5분 42초 동안 1.386M의 피해를 주어 적 함대를 섬멸

 

2. 전제 조건

 ㄱ. 특정 함재기 요구(호위정 또는 전투기)

전투기 : 비타스-B010 / 비타스-A021 / 스팅레이 / B192 뉴랜드 / 스트릭스 / 스포어 A404 / 미스트랄

호위정 : 셀룰러 디펜더 / CV-T800 / 네뷸러 체이서 펄스형(변종) / RB7-13 / 보이드 엘핀

 

 ㄴ. 일정 수준 이상의 테크 포인트

유료 상자를 제외하고 무료로 올릴 수 있는 테크 포인트는 최대 50까지다.

여기서 해적을 상대하여 올릴 수 있는 것은 30까지이며 전투 데이터 혹은 유저를 상대로 50까지 올릴 수 있다.

30 이후부터는 요구되는 경험치가 늘어나 50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지만, 다행스럽게도 함재기의 경우 그리 많은 경험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의 전투 데이터”를 통해 빠르게 올릴 수 있다.

 

 ㄷ. 조립식 모듈 공장

게임을 어느 정도 즐긴 유저라면 매일 특정 시간마다 받을 수 있는 의뢰 퀘스트를 통해 조립식 모듈을 얻을 수 있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다.

후반에 가면 “신제품 세일”이라는 의뢰 퀘스트를 통해 조립식 모듈을 50개 받을 수 있다.

의뢰는 일단 받고 나면 일정 시간이 지나도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비상시를 대비하여 보상 수령을 미루는 게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다면 최대 500개의 조립식 모듈 공장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는 셈이다.

 

 ㄹ. 특정 건물

a. 기지 근접 방어 시스템

-기지 확장 5부터 건설 가능

-최대 레벨 시 방어 격납고 용량+40 / 기지 내구도+200K / 기지 대함 화력 60000

b. 기지 방어 시스템

-기지 확장 9부터 건설 가능

-최대 레벨 시 기지 내구도+300K / 건축물의 대함 화력, 방공 화력+2% / 기지 장갑 40

 

3. 설명

 ㄱ. 함재기 배치.

“기지 근접 방어 시스템”이라는 이름의 건물을 1 레벨 올린 후부터 방어 격납고에 함재기를 편성할 수 있다.

기지 화면에서 기지 방어를 누르고 들어가면 된다.

 

 

 ㄴ. 추천하는 함재기

모든 함재기가 기지 방어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함재기 중에서도 대함에 특화된 개체가 있는데 이를 쓰는 게 좋다.

 

전투기 : 비타스-B010 / 스팅레이

호위정 : 셀룰러 디펜더 / CV-T800 / 네뷸러 체이서 펄스형(변종)

 

※ 미스트랄, 잠비야는 뽑지 못해서 써보질 못했음.

 

다른 함재기가 안 좋거나 아예 쓸모없다는 것은 아니다.

스포어, 비타스A, 뉴랜드의 경우 주 무기 시스템을 파괴하여 함대의 공격력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것도 가능하며 호위함, 구축함을 상대하는데 특화된 함재기의 경우 위 추천 함재기 못지않은 피해를 줄 수도 있다.

그러나 테크 포인트가 낮거나 무기의 모듈 조율(공격력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았다면 제대로 된 피해를 주긴 힘들고 특정 함재기(CV-M011 / CV-II003 / SC002 / 불프로그 / 네뷸러 체이서 기본형)의 경우 테크 포인트가 높아도 큰 피해를 주긴 어려울 것이다.

 

 ㄷ. 방어 격납고 용량 증가

맵에 있는 특정 부속 건물에 도킹 후 이전할 경우 방어 격납고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보통 소행성 지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ㄹ. 단독 함대 편성

적으로부터 기지를 공격당할 경우 주둔하고 있는 함선은 자동으로 함대를 편성하여 출전한다. 이때, 편성된 함대 역시 함께 출전한다.

적 함대는 한 번에 하나의 함대하고만 전투한다.

요컨대 편성된 함대가 많을수록 기지는 오랫동안 버틸 수 있고 그만큼 적 함대는 함재기 방어 함대로부터 받는 피해가 누적될 것이다.

이를 위해 “하나의 함선으로 이루어진 함대”를 다수 편성한다.

 

보통 가장 저렴하고 기본적으로 모두가 갖추고 있는 “FG300 다기능형 / 정찰형 / 장갑형”을 쓰지만, 회피 능력이 높은 “카릴리온 정찰형 / 특수형”을 쓰기도 하고 필요하다면 호위함의 모든 함선을 쓰기도 한다.

100개 이상의 단독 함대를 편성할 경우 다수의 유저가 모인 게 아니라면 웬만해선 밀리지 않는다.

조립식 모듈은 여기서 쓰인다. 편성된 모든 함대가 파괴되었을 때, FG300을 하나씩 즉시 생산하면 된다.

 

※ 함대 편성은 일일이 하나씩 눌러줘야 하며 마찬가지로 구성된 함대를 해산할 때도 일일이 하나씩 눌러줘야 한다.

※ 필자는 조립식 모듈까진 써서 막아본 적은 없음.

※ 공격 온 적 함대의 수가 다섯을 넘어간다면 100개 이상의 단독 함대를 편성해 두더라도 금방 뚫림.

 ㅁ. 방어 건물 업그레이드

기지 확장 5부터 건설 가능한 "기지 근접 방어 시스템"은 레벨이 오를 때마다 방어 격납고 용량이 늘어나 최대 40까지 수용이 가능하다.

기지 확장 9부터 건설 가능한 "기지 방어 시스템"은 레벨이 오를 때마다 장갑이 늘어나 적 함대로부터 받는 피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ㅂ. 주 전력 대피

기지가 공격 당한다는 건 사실상 최악의 상황에 이른 것이나 마찬가지다.

소속된 연합이 전쟁에서 밀렸거나 혹은 다수의 유저에게 집중 공격을 당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이러한 상황에 이르렀을 때,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전력을 최대한 보존하는 거다.

이 게임은 특이하게도 기지가 파괴되거나 공격당했다고 해서 갖고 있는 자원을 빼앗기진 않으니 억지로 지키려 들 필요는 없다.

따라서 항공모함이나 전투순양함과 같은 많은 자원과 시간을 투자해야 만들 수 있는 함선의 경우 멀리 있는 아군의 함대 혹은 엔지니어링 함선에 증원을 보내거나 이동시켜 후일을 도모하는 것이 낫다.

4. 마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