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원신 초보/뉴비를 위한 성유물 가이드 2편

by 정 보 2023. 3. 17.
반응형

목차

1. 성유물 옵션 보는 법

2. 누구한테 무엇을

3. 강화소재가 없어

1. 성유물 옵션 보는 법

성유물을 끼울때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으며

고인물에겐 아주 간단하지만 초보에겐 한없이 어렵다.

지금부터 학습하면 나중에 누구보다 빠르게

원땅소리 듣기 좋으니 서둘러 배워보자.

우선 캐릭터에게 뭘 끼울지 가장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캐릭터 계수를 보는것이다.

원신 성유물
 
원신 성유물

사진을 보면 알듯이 공격력계수는 깔끔하게 0.0%

체력계수HP최대치의 0.0% 라고 나와있다.

그런데 이거 하나만 보면 뒤통수 한 대 맞기 쉽다.

계약을 할 때 첫 장만 읽고 넘기면 가끔 통수맞는거와 같이

하나만 보고 무엇을 낄지 정하면 통수맞기 십상이다.

고로 성유물 보는법은 크게 4가지를 보면 된다.

1. 캐릭터 계수

2. 데미지 비중

3. 캐릭터 전용 특성

4. 캐릭터 매커니즘

캐릭터 계수는 위에 설명했듯이 %가

어느것을 기준으로 하는지 확인하는 것이고

데미지 비중평타 원소스킬 원소폭발 중

어느것의 데미지가 더 많이 사용되고 들어가는지.

특성은 말 그대로 캐릭터 고유의 특성을 보고

캐릭터 매커니즘은 캐릭터가

어떤용도로 사용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귀여운 나히다로 예시를 들어보겠다.

원신 성유물
 
원신 성유물

일반 공격은 전부 공격력 계수에

원소스킬은 하나빼고 전부 공격력 계수이다.

하지만 나히다 매커니즘상 원소스킬만 쓰고 빠지며

데미지비중은 전부 삼업의 정화 피해로 들어가니

결국엔 원소 마스터리를 챙기는 것이다.

'아니 삼업의 정화에 공격력 계수도 있는데 그건 무시함??'

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럴때 특성을 보면된다.

「 대충 나히다 특성이 원마와 관련이 있다는 소리

원신 성유물
 
 

첫번째 특성은 원소폭발을 사용시 파티원중 원마가

가장 높은 캐릭터 원마의 25%만큼

영역 안에있는 필드 위 캐릭터의 원마가 증가한다.

라고는 하는데

일단 원마를 기준으로 발동하는것을 알 수 있다

원신 성유물
 
 

두번째 특성은 나히다의 원마가 200을 넘으면

넘은 원마에 비례해 삼업의 정화피해와 치명타 확률이 상승한다.

대충 나히다 특성이 원마와 관련이 있다는 소리」

데미지 비중과 특성을 보았으니

나히다는 원마를 기반으로 세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글로 설명해서 어렵고 복잡한거지

1. (요약)

그냥 쓰면서 어떠한 용도로 사용되고 (서폿? 딜러?)

어느 스킬을 자주 사용하고 (평타? 원소스킬? 원소폭발?)

스킬이나 특성의 계수가 무엇인지 안 다음 (공%? 체%?)

알맞는 성유물을 고르면 된다. (참 쉽죠?)

이거 외엔 더 쉽게 풀어서 설명할 방법이 생각 안 난다..

이 난이도에 뭔 초급이론이냐!! 라고 하는데

고인물 버스 안 받으려면 지금 알아야한다

나중에 45찍고 응애 성유물해줘 보단

자수성가 하는 모습이 더 보기 좋아보인다

... 솔직히 라떼는 마렵다

2. 누구한테 무엇을

이전 글에서 언급한 초반 성유물세트와 주옵션을

누구에게 끼우는게 좋을지 설명하겠다.

30~45 구간에서 자주보는 성유물로 구성하며

성유물 비경은 안 들어간다는 전제하에 설명하겠다.

먼저 세트효과 세팅이다.

원신 성유물

좌)원소스킬 우)원소폭발

원소폭발보단 원소스킬과 평타를 많이 쓴다.

- 전투광 2세트 + 아무거나 2세트

딜 필요없이 원소폭발만 사용한다.

- 유배자 2세트, 학사 2세트

원소폭발을 사용하는 메인딜러 혹은 서브딜러다.

- 전투광 2세트 + 유배자 2세트

필자가 애용하는 조합은 전투광과 유배자 22세트다.

필드에서 자주 보여 원하는 주옵션을 먹을 확률이 크며

초반엔 원소폭발을 자주 사용하는게 좋기 때문이다

그외에 자신이 편하다 생각하는 조합은 그대로 사용하자.

개개인의 세팅에 정답은 없으니까.

다음은 주옵션 세팅이다.

초반에는 큰 틀을 벗어나지 않는다.

왕관은 웬만하면 치명타확률% 고정에

└ 치명타 피해 왕관을 쓰고 치명타 확률이 70이 넘어가면

그땐 치명타 피해 왕관을 써도 무방하다.

성배는 원소피해보너스%

└ 원소피해성배가 없을시 캐릭터에 맞는

공격력%, 체력%, 방어력% 를 껴주자.

시계는 원충 또는 캐릭터에 맞는 % 성유물이다.

시계가 의외로 경우의 수가 많다.

원충무기를 끼고 유효 % 시계를 끼는 경우가 있고

원충무기를 껴도 원충시계를 끼는 경우가 있는등

가짓수도 여러가지에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다르지만

위에 세트효과에 언급한것을 참고하면 감이 잡힐것이다

※ 단 만개파티 만개요원은 무조건 원마만 올리자.

2. (요약)

원충만 올리려면 원충무기 원충시계 원충세트

딜만 올리려면 %무기 %시계 전투광 2셋 공18% 2셋

원충, 딜중 무엇이 우선인지 느껴보고 세팅해주면 된다.

예시)

원신 성유물
 
원신 성유물

좌) 원충에만 투자한 원소폭발용 여행자

우) 원충과 %옵션 적절하게 분배한 야란

3. 강화소재가 없어..

이건 성유물강화 해본 사람에겐 항상 들이닥치는 상황이다.

성유물로 빨리 성장하고 싶은데 막히면 답답하다.

그럴 때는 아쉽지만 성유물 강화는 뒤로하고

필드 상자 파밍하거나 폐지라도 주워야한다.

방법은 유튜브에 원신 폐지런 검색하면 나오니 참고하자.

30~45 레벨에서 신경썼던 부분은 다 적은듯하다.

레벨이 너무 빨리 올랐고 성유물도 신경쓸 틈이 없었다

이제 천천히 폐지로 성유물 4성들 16강하면서

45레벨까지 특성만 캘 예정이다.(가끔 지맥도)

이게 정답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최소한 성유물 길라잡이 정도는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초급이론을 마치겠다.

초급은 성유물 세팅을 다뤘고

중급은 전용성유물과 효율적인 성유물 파밍

고급은 준종결과 종결에 대해 짤막하게 다를 듯 하다.

뉴비들에게

끝으로 성유물 공략과는 다른 조언이지만

파티의 축이되는 캐릭터와 동일한 원소의 캐릭터가

하나 더 들어가 있으면 원소충전이 편해서

게임 자체가 수월하게 진행될거다.

ex)향릉베넷, 콜레이풀행자, 야란행추

물론 원소구슬을 적게주는 캐릭터는 예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