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산적 6렙+금고면 3웹 주마등 때 상점 레벨업 하지말고 돈 다 털어서 산적 최대한 뽑기
초반에 돈을 빨리 벌어야 이자받고 굴릴 수 있다.
산적은 게임 초반을 책임져주는 아이언냥 재료기도 하고 머니건 있으면 아이언냥으로 후반까지도 광역딜 해결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 뽑은 일반 유닛들을 상점 레벨업을 한 후 빌드업에 쓰이는데 이게 필드 관리할 때 차이가 크다
2. 도박 유물 다 있으면 상점 레벨업은 '늦게' 할수록 좋다.
45웨이브까지 이자 2만 쯤 모으고 업 친후 빌드업 ㄱㄱ
영웅1기 뜨면 15웨이브
전설1기 뜨면 25웨이브까지 갈 수 있다.
현메타가 도박으로 고등급 유닛을 수급하다보니 저등급을 수급하려면 상점이 저렙인게 좋고 뭣보다 초반 상점 업글 비용이 너무 비싸다.
돈 째는거도 실력이긴한데 유도리잇게 판단할 것.
필자는 주로 25웨이브 힘겨우면 한번 정비해서 30보스 잡을 정도로 맞추고 남은 돈은 킵한 다음.
40보스 힘겹게 잡으면 최대한 정비 or 쉽게 잡으면 45에서 한번 조합을 다 갖춰주면된다.
3. 드래곤
ㅈㄴ 쎄보이는 외견이지만 6렙 드래곤을 기준으로 잡으면 사실 드래곤은 '초반캐' 라고 할 수 있다.
광역딜과 동물 수에 따라 공버프를 받지만 최종 메인 딜로 랜슬롯을 기용하기 때문에 공속 가치가 높은 이 게임에서 공속 버프를 주는 독수리를 두 마리나 쓰는건 후반엔 손해다.
비슷한 초반 국밥캐인 아이언냥이는 마나젠 버프를 주기 때문에 드래곤보다 더 기여도가 높다.
하지만 드래곤 최대 장점은 영웅2,일반1로 조합이되기에 '싸다'는 것에 있고 기물 조절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게 아니기에 필자는 아이언냥이 or 드래곤 필드 상황 따라 골라가는 편이다.
물론 금고+머니건있으면 용3마리로 게임 깰 수 있음.
4. 아이언냥이
워머신+산적2로 조합하는 국밥캐릭.
초반에 뜨면 30라운드까진 든든하게 견인해주고 유물 상태에 따라 얘하나만 딜러로 써도 50라까지 갈 수 있다.
금고가 없더라도 랜슬롯에게 버프를 넣어줄 수 있는 마나젠까지 있어서 만능인 유닛이다.
근데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게 아이언냥이는 '근딜'이지 원딜이 아니다.
아이언냥이 패시브인 레이저 블레이드는 보기엔 커보이지만 x1의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근접해야 딜 들어간다.
그렇기에 아이언냥이는 랜슬과 같은 근딜 위치에 넣는 것을 추천한다.
5. 필드가 꽉찻을 때 제일 먼저 파는건 '희귀' 유닛
당연히 0순위는 필요없는거니까 쓰는 것 만으로 꽉찻을 때를 말하는 것.
희귀 유닛은 도박 확률 60퍼고 유물 효과인 영웅 도박 페이백으로도 얻을 수 있기에 수급이 가장 잘되는 유닛이다.
그렇기에 이미 필드가 재료로 꽉찻을 땐 가장 먼저 판다면 파랑색 이 친구들을 팔어서 정리하는게 좋다.
6. 보스 라운드 보상 + 글리치
10웨이브마다 나오는 보스를 잡으면 50웨이브까진 처치 후 보상 선택칸이 나온다.
이때 필드가 꽉 차잇으면 보상을 못받으니까 반드시! 두자리는 비워둘 것.
왜 두자리냐면 선택창에서 선택을 하지않고 0초가 지나가면 랜덤 보상을 준다.
선택창의 시간이 0초가 끝나는 순간 본인이 골라둔 보상을 선택하면 그 보상과 랜덤 보상을 둘 다 받을 수 있다.
7. 도박, 영웅? 전설?
대부분 도박을 영웅에서 하지만 필자는 전설과 영웅 도박을 병행한다.
왜냐면 임무에 전설관련 도박 임무가 있는데,
성공3회, 실패5회가 있다.
두 임무를 유물 보상 포함 행운석 4개의 가치로 보며, 전설은 실패해도 유물 효과로 영웅을 노릴 수도 있기에 성공은 운영이 말리면 포기하는 편이고 실패5회까지는 노려보는 편이다.
여기까지가 혹시 모를만한건 다 적어봣음.
직접 알아낸거도 있고 대부분 다른 유저들에게 배운 것들임.
이런거 알고나니까 렉으로 기절 프리패스 당하는거 아니면 공방 클리어율 100퍼댓음.
나만 잘굴리면 깨지니깐 팀원들이 잘할수록 여유가 생겨서 낭만 개구리, 드래곤 8마리 등등 재밋는거 할수 있어서 좋드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