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조 스킬 꿀팁 및 무기세팅, 에코세팅, 캐릭터 조합 공략 가이드

by 정 보 2024. 6. 19.
반응형

1. 스킬

공명 해방 시전 전에는 "메에메에"라는 추가 타와 공명 스킬에서의 마지막 추가타가 메인이 되는데

일반 공격 4단 후 타이밍을 맞춰서 평타를 클릭하면 메에메에 추가타를 날릴 수 있고, 회피 반격 후에도 비슷하게 시전이 가능합니다

솔직히 그냥 계속 평타만 클릭하면 시전이 되는듯 하지만 간혹 스킵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타이밍을 맞춰서 사용해 주시는 게 플레이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공명 스킬에서의 마지막 추가타도 이와 비슷하게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앙코의 공명 회로 포인트는 반주 스킬과 회피 반격을 제외한 모든 공격에서 포인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좋습니다

포인트를 풀로 채웠을 때 강공격을 시전 하면 무질서 상태에 돌입을 하는데 이때 받는 피해 감소 70%를 얻음으로써 태아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고

무질서 상태가 종료되면 강력한 용융 피해를 입힙니다 이때 들어가는 피해는 공명 해방 피해로 적용이 됩니다

그리고 이 부분에서 협주 에너지가 풀로 차있다면 파티 캐릭터와 강력한 연계가 가능한데 무질서 상태에서

다음 출전 캐릭터를 이용해 앙코의 반주 스킬과 무질서 상태 종료 용융 피해를 넣는 게 가능합니다 다른 캐릭으로 변경했다 해서 무질서 상태가 끝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리고 출전 캐릭터에 변주 스킬도 동시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총 3가지의 공격을 동시에 넣는게 가능해집니다

앙코의 반주 스킬도 대미지가 굉장히 좋은 편이라 생각보다 훨씬 더 큰 대미지 피해를 넣을 수 있습니다

무질서 상태에서 가능한 행동은 오로지 캐릭터 변경뿐이라는 것도 알고 계셔야 합니다

앙코가 공명 해방을 시전 하면 모든 스킬 대미지가 더 강력해지며 특이한 점은 근접으로 전투 방식이 변한다는 것입니다

공명 해방 상태 지속시간은 10초이고요 여기서에 무질서 상태 공격에서 하나 다른 점이 있다면 지속딜을 넣는 영역이 앙코를 중심으로 생긴다는 점과

일반 몹들을 자신에게 끌어오면서 지속딜을 넣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때 무질서 상태 마지막 공격도 공명 해방 피해로 들어갑니다

나머지는 부분은 다 똑같습니다

대신 여기서 하나 알고 가야 하는 것이 공명 해방 시전하고, 공명 회로가 풀로 찼을 때 곧바로 무질서 상태에 돌입을 하고 종료가 되면 공명 해방 상태 지속 시간과 상관없이 그대로 일반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딜 넣을 거 다 넣고 마지막으로 무질서 상태로 마무리하는 것이 가장 베스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다음 출전 캐릭터와의 연계도 공명 해방 상태에서 해야 훨씬 더 강력하게 딜을 넣을 수 있다는 것도 항상 인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이렇게 스킬을 살펴보면 알 수 있는 게 무질서 상태 마지막 공격은 공명 해방 피해로 적용되지만 나머지 공격들은 각각의 원래 스킬 피해로 적용이 되기 때문에

여기서 조금 피곤해집니다 일반 공격, 강공격, 공명 스킬, 공명 해방 각각의 스킬 피해 보너스를 챙겨줘야 전체적으로 딜 밸런스가 고루고루 잘 잡힌다는 말이 되거든요

거기다가 앙코의 스킬 셋 때문에 캐릭터 조합도 다양해져서 어느 부분에 힘을 줄지도 고민하게 되는 자신을 볼 수 있게 됩니다 물론 또 이런 게 하나의 재미가 되긴 하지만

2. 무기

무기 추천은 먼저 4성에서

청음 : 프리미엄 패스에서 얻는 게 가능하며, 기본 스탯도 좋고, 공명 해방을 시전하면 공격력 버프를 꽤 크게 얻는게 가능하기 때문에 딜적으로 아주 좋은 4성 무기가 되겠습니다. 지속 시간도 15초라서 공명 해방 상태가 끝나도 5초 더 효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5성에서는

파도의 기록 : 뽑기로 얻는게 가능하고, 공명 효율 버프로 공명 해방 시전에 도움을 주고, 일반 공격 피해 보너스에 5 중첩 버프가 들어가기 때문에 일반 공격으로 강력한 딜을 넣는 게 장점입니다. 그렇다면 에코에서는 나머지 피해 보너스를 챙겨주는 게 포인트가 되겠죠 그러나 사실 단점이라고 말한다면 뽑기를 통해 얻는 거라 접근성은 오히려 청음 쪽이 편합니다. 크게 보면 딜적인 밸런스도 청음 쪽이 확연하게 잘 잡혀있다는 것이 보이고요 물론 공명 해방을 써야 하지만

그러나 기본 깡딜만 생각하면 당연히 파도의 기록이 좋은 건 맞습니다 5 성이기 때문에도 그렇고요 이러한 부분을 잘 고려하고 사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꼭두각시의 손 : 현재 픽업 무기 뽑기로 얻을 수가 있죠 이건 그냥 머 증폭기를 쓰는 메인 딜러라면 최강의 무기이죠

앙코의 모든 대미지를 아주아주 강력하게 만들어 줄 수 있기 때문에 딱히 단점을 찾을 게 없네요 이거 얻고 에코 스탯에서 크리티컬 피해, 피해 보너스들 붙이면 끝장납니다. 참고로 그냥 크리티컬이라고 써져 있는 건 크리 확률을 말하는 겁니다 제가 에코 스탯에서 보통 크리터컬이라고 그냥 말하는데 여기서의 의미는 확률, 피해 둘 다 묶어서 챙기라고 말하는 겁니다

3. 에코

에코 속성은 용융 속성, 이펙트 효과를 통해 총 40%의 용융 피해를 얻을 수 있고요

에코 기본 스탯에서 챙겨야 하는 건 크리티컬, 용융 피해 보너스, 공격력

추가 스탯에서는 크리티컬, 공격력, 일반 공격 피해 보너스, 공명 스킬 피해 보너스, 공명 해방 피해 보너스

기본적으로 이렇게 챙겨주시면 됩니다

에코 스킬은 지옥불 기사를 쓰는 게 메인입니다

지옥불 기사 : 연속 3회 공격이 가능하고 마지막 공격을 명중시키면 용융 피해와 일방 공격 피해 보너스 12%를 얻고요

에코 스킬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라이딩을 즐길 수가 있고, 종료 시 강력한 용융 피해를 입히는 게 가능합니다

4. 캐릭터 조합

캐릭터 조합에서 참 많은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보시고 본인이 맘에 드시는 쪽으로 조합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인랑자와의 조합 : 방랑자 인멸 속성 상태를 말하는 건데, 좀 의아해하실 수 있어요 피해 버프를 넣어주는 캐릭터가 아니니까 말이죠

이 조합은 앙코와 빈랑자의 반주 스킬 조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나의 공통점이 존재를 하는데 범위 내 지속딜을 넣는다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웬만하면 딜이 계속 끊기지 않게끔 만드는 느낌이라고 보시면 돼요 실제로 서로의 반주 스킬 대미지도 잘 나오는 편이라서 가능한 조합입니다

산화와의 조합 : 일반 공격 피해 38% 버프를 통해서 앙코에 일반 공격에 힘을 주는 형태입니다

이렇게 되면 에코 추가 스탯에서 일반 공격 피해 보너스보다는 나머지 피해 보너스에 힘을 실어주면 되는 시스템입니다

양양과의 조합 : 이 조합은 양양의 반주 스킬 내용을 통해서 앙코가 보다 더 빨리 공명 해방 시전을 하게끔 도와주는 조합입니다

앙코가 공명 해방을 시 전했을 때 전체적인 스킬 대미지가 굉장히 강력해지기 때문이죠

설지와의 조합 : 아마 설지를 쓰는 분이 꽤 있으실 텐데 이 친구도 힐러 캐릭터입니다 설지는 자신의 HP가 높을수록 힐량이 증가하는데

반주 스킬 내용이 벨리나와 비슷한 듯 하지만 자세히 보면 다릅니다 HP 회복을 30초 지속시간 안에 3초에 한 번씩 힐을 넣는 방식이며

앙코가 이렇게 힐을 받을 때마다 전체 피해 15% 버프를 얻게 되는데 6초의 지속시간이 존재합니다

총 10번의 회복을 받을 수 있으며 30초의 지속 시간이 끝나도 전체 피해 버프를 6초 더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설지의 공명 체인이 많이 열려있다면 공명 체인이 전혀 열려있지 않은 벨리나보다도 훨씬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을 겁니다

이번에는 현재 아직은 출시되지 않았지만 곧 출시가 될

장리와의 조합 : 음림과의 반주 스킬과 똑같습니다 일단 앙코에게 용융 피해 20% 버프가 들어간다는 게 그냥 좋고, 공명 해방 피해 버프도 존재를 하기 때문에

앙코의 무질서 상태 마지막 공격에 아주 크게 버프가 들어갑니다 물론 이 부분은 장리의 반주 스킬 지속시간이 10초이기 때문에 이 점을 항상 생각하고

플레이를 해야 한다는 것이 포인트겠죠 그러면 에코 추가 스탯에서 공명 해방을 제외한 나머지 피해 보너스를 챙겨주면 되겠습니다

https://youtu.be/wXyw1j8QKdc?si=mhFtmcXLVf_UOYUD

 

장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다뤄보도록 하죠

벨리나와의 조합 : 벨리나는 이제 진짜 언급 안 해도 되겠죠? 캐릭터 조합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아실 거라 생각을 합니다

 

작성자의 요청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